김민관2 <점점점> 프로젝트: 지역성을 프로젝트로 하는 공간들을 일별하기 프로젝트를 이야기해보자. 처음 생긴 지원사업이라는 점에서 일단 그 지원사업의 면모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인천문화재단은 “인천의 문화생태 활성화를 위한 예술실험 지원사업”으로 캐치프레이즈를 만들었다. 공간의 힘은 공간이 지속하는 힘에서 나온다. 공간은 프로그램을 통한 공간의 정체성과 역사를 구성해나가게 된다. 공간의 축적된 데이터는 아카이브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자체를 “예술실험”으로 구성한 것에는 시간의 단위에 관한 언급으로 볼 수 없다. 보통의 지원사업과 마찬가지로 행정이 요구하는 결괏값과 그 납기 기한이 있는 일회성적인 의미만을 생각하게 한다. 여기서 “인천의 문화생태 활성화”는 “예술실험 지원사업”을 통한 이차적인 결과로, 그 결과를 직접적인 목표로 잡기에는 간극이 있다. 바로 이 캐치.. 2021. 2. 7. 폐허 속 사물이 이야기하는 것 인천 ‘옹노(擁老)’에서 열린 오석근 작가의 쇼케이스 ‘인천’은, 근작인 ‘인천’을 찍은 시리즈 외에도 그의 지난 작업들 일부와 그에 대한 비평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중 16장의 ‘인천’ 시리즈만을 초점화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천’의 연작에서, 포스터에도 나온, 보랏빛의 폐허로 남은 산업 현장과 그 뒤로 신기루처럼 서 있는 번쩍거리는 아파트를 함께 찍은 사진을 제하면, 대부분의 사진은 미시적이고 해부학적 시선으로 인천의 재개발 현장의 버려진 사물들과 건물 일부분들, 바닥의 표면들과 같이 사물의 특정 단면을 포착하고 있다. 세로가 월등히 긴 프레임의 사진은 표면의 절단 효과를 강조하는데, 세계의 표면을 위로 세워 불안정한 시선의 안착을 형성하거나 빗장을 완전히 열지 않은 듯한 폐쇄된 공간감을 불러일으.. 2021. 1.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