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미술8 뉴딜하라! 문화제조창씨C 2020 공공미술 프로젝트 ‘우리동네 미술’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로 했던 전국적인 예술가와 함께하는 뉴딜 사업으로 작년 하반기 예술계를 뜨겁게 달궜던 프로젝트였다. 서울의 경우 수백 건의 공공미술 아이디어에 기금을 뿌려댔고 거기서 걸러진 제각각의 프로젝트는 실제 전문가의 컨설팅을 바탕으로 실현할 수 있는 여건을 테스팅했다. 이에 비해 지자체로 내려간 뭉치 돈의 기금은 우리동네에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쓰였고 어떻게 제작되었는지 관심 있는 몇몇 예술가들 제외하고 대부분 알 수 없었으며 그 진행과 홍보사례들은 문체부, 아트누리, 퍼블릭아트 홈페이지 등 한두 개의 공모사항을 제외하곤 각 시도 홈페이지 어디에도 운영사항이 나와 있지 않다. 이에 더 들어가 필자가 들여다본 청주시도 마찬가지. 사업을 주관한 청주시.. 2021. 8. 29. 작금 공공미술에 대한 단상 프롤로그 얼마간, 작년과 올해 시행했던 ‘우리동네 미술’ 프로젝트(공공미술 프로젝트) 백서들과 관련 자료들을 찾았다. 자료들은 주로 경기도와 그 주변부, 서울과 인천 프로젝트를 담고 있다. SNS에 올라오는 프로젝트의 과정 포스팅도 조금 보았다. 이 일에 열심을 다하고 싶지는 않았다. 나에게 그리 관심의 대상도 아니었지만, 미워하기도 민망한 선입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론은 안타깝고 불편한 심기를 마주하게 되었다는 것과, 민망한 선입견의 정체가 조금 더 확실해졌다는 지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예술에 대하여 확정하고 싶지 않은 이 마음은, 실낱같은 무언가를 갈구하기 때문인 듯. 희망보다는 매우 미미한 그것을 향해 그냥 애증어린 불평을 해 본다. 불평들 2021년 현재, 여전히 공공미술은 공공성에 대한.. 2021. 8. 29. 우리동네 미술 찾기의 수고로움과 읽기의 괴로움 지난 8월 1일 인천시는 2020년 공공미술 프로젝트였던 ‘우리동네 미술’ 프로젝트가 10개 군구별 20개 팀과 383명이 참여해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예술가들에겐 일자리를, 심리적 정서적으로 지친 시민들에겐 위안과 향유 기회를 제공했다며 보도 자료를 냈다. 지역 매체들은 해당 보도자료를 거의 가져다 쓴 기사로 ‘성료’라는 제목을 달았다. 총 4,152백만원을 공공미술 사업비로 사용한 설치형, 공간조성 및 전시형, 프로그램형, 기록형으로 했다는 그 사업들 찾아보기로 한다. 보도자료 뒷부분에 공공미술 프로젝트 현황을 붙였다고 하니 의외로 쉽게 확인 하겠는걸 했지만, 어디에도 없다. 낚인 걸까. 중구는 37인 선정해 신포동과 연안동, 운서동 일원에 청동부조작품 13점, 화강석 글판 8점, 벽화 .. 2021. 8. 29. 누가 그 곳에 공공미술을 필요로 했는가? 전주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 팔복예술공장에(이하 예술공장) 올해 3월부터 설치되어 2023년 12월까지 운영되는 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공공미술프로젝트 ‘우리동네 미술’을 전주시와 전주문화재단이 주관한 것이다. 기획팀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4개의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예술을 통해 지역에 다가가고 예술공장과 인근 공간의 다양한 이야기를 생성하며, ‘열린 공유의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공공과 예술의 만남을 통한 관계망들의 형성을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예술공장의 ‘열린 공유의 공간’을 지향하는 기획의도, 그리고 그 동안 미술 전시뿐만 아니라 창작활동지원, 예술 관련 놀이,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행사 기획 등을 진행해 온 예술공장의 운영과 적절하게 부합하는 듯 보인다. 특히 약 20여년 간 방치되어.. 2021. 7. 25. 평면, 조형에서 벗어난 기록·공동체형 공공미술 프로젝트 COVID-19 위기 극복을 위한 문화뉴딜 사업인 공공미술 프로젝트 '우리동네 미술' 사업으로 한동안 전국의 문화예술계가 떠들썩했다. 2020년 전국 문화예술행정계가 9월 국비를 받고 참여 팀을 공모, 2021년 2월까지 긴급하게 진행한 이 사업은 미술계에서 일종의 긴급 고용 안정 지원금으로 이해되었다. 수개월 내에 사업을 수행하고 정산까지 마무리해야 하는 촉박한 추진 일정으로 시작 전부터 제기된 크고 작은 우려들이 현실이 되기도 했다. 이 중 대부분은 공공미술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지역 내의 충분한 의견 수렴과 고민을 위한 시간이 부족했던 탓이다. 제주도에서는 제주문화예술재단이 서귀포시 문화도시센터, 제주시 문화도시센터와 협력 체계를 구성하여 제주시 우도면과 금악리, 서귀포시 10개 마을에서 주민 .. 2021. 7. 25. ‘모두의 미술’로서 공공미술을 다시 생각하며 1. 관주도 공공미술의 빅뱅 문체부가 그간 추진했던 공공미술프로젝트를 살펴보면, 2009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마을미술프로젝트’를 이번 ‘우리동네 공공미술프로젝트’의 전범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마을미술’과 유사한 ‘우리 동네미술’이라는 용어도 그렇고, 이명박 정부 들어 세계금융위기가 터지고 그 여파로 곤경에 처한 미술인들에게 공공미술로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예술뉴딜’이라는 문맥도 같다. 문체부의 첫 공공미술프로젝트였던 ‘아트인시티(Art in City)’(2006~2007)가 마을미술프로젝트의 전범이기는 하지만 두 사업은 그 배경과 방향이 달랐다. 아트인시티는 기존 건축물미술장식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공공미술 제도를 도입하고자 했던 것으로, 특히 주민참여에 기초한 공공미술 모델을.. 2021. 7. 25. 주민의 동의, 참여가 곧 공공성의 확보로 이어지는가 COVID-19로 위축된 예술계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예술인들에게 일자리 지원 명목으로 기획된 ‘우리동네 미술'이 2021년 6월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사업이 마무리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국비 53억1500만 원을 포함해 총 66억1400만 원을 투입했고, 공모를 통해 총 17개 팀이 선정되어 13개구군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사업이 종료된 현재 시점에서 13개 구군에서 진행한 사업의 결과를 보도자료로 홍보한 곳은 몇 군데에 불과하고, 구청 홈페이지 등에서 공모결과나 추진계획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2020년 11월 24일자로 공개된 '우리동네 미술' 공모 선정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구‧군 내용 중구 ① 중구-1 .. 2021. 7. 25. 공공미술의 시계를 십여 년 전으로 돌려버린 ‘우리동네 미술’ 작년 하반기쯤이다. COVID-19로 힘든 예술인들을 지원한다는 명분으로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전국에서 펼쳐지기 시작했다. 미술계에서는 평소 볼 수 없던 대규모 지원사업이라 이 거대한 흐름을 관심 있게 지켜봤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228개소에 4억씩 일괄 지원하는 이 사업은 총 948억이라는 예산이 투여되었다. 기존 가장 규모가 컸던 마을미술프로젝트가 2009년 전국 21개소에서 시행되었던 것을 생각하면 이는 매우 이례적이고 파격적인 일이었다. 미술계에 이렇게 큰 예산이 투여되었으니 반가운 일이어야 하는데, 이 사업은 시작과 함께 미술계 내부에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인구나 수요를 생각하지 않고 일괄 4억씩 지원하는 방식부터 문제가 되었다. 더군다나 공공미술프로젝트의 특성상 설계와 .. 2021. 7.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