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보니 올해 지역 공공 레지던시 세 군데(인천아트플랫폼, 아트플러그 연수, 예술나루 레지던시)와 간접적으로 엮여 소소한 일들을 했는데, 자문을 빙자해 이런저런 의견들을 덧붙이거나, 비평이란 이름으로 작가 작업이나 프로젝트 관련 글 빚을 갚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늘 ‘지역’ 공공 레지던시를 둘러싼 여러 전형적인 프레임들이 눈에 들어왔다.
인천서구문화재단이 수자원공사, 서구청과 함께 경인 아라뱃길 여객 터미널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만든 ‘예술나루 레지던시(이하 예술나루)’는 올해 첫 입주 작가를 선정해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인천서구문화재단의 예술인 지원 사업으로 서구 지역을 우선으로 하되, 인천 지역까지 청년 예술가를 지원을 지향하여 서구에 정주한지 오래되지 않거나, 타지에서 활동하다 다시 지역에서 활동을 모색하는 작가들이었다. 연수문화재단이 송도 유원지 지역 길병원의 연수원 부지를 활용한 ‘아트플러그 연수(이하 아트플러그)’는 작년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입주작가를 모집하고 올해 1기를 진행했다. 서구와 달리 지역 연계 연구 프로젝트와 개인 작업을 구분해 전국 단위 모집을 했고, 지역 연계 작업과 프로젝트에 공을 많이 들였다. 인천문화재단이 물류 창고 유휴 공간을 활용한 ‘인천아트플랫폼(이하 아트플랫폼)’은 2009년 파일럿 이후, 가장 오래된 공공 레지던시이고 시립미술관이 준비 중인 상황에서 여전히 유사-인천시립미술관 역할을 자의반 타의반 하고 있다.
민간이나 공공의 유휴 시설을 위탁 형식으로 운영하는 이런 공공 레지던시는 기획과 운영의 지속가능성을 갖기엔 많은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 예술나루의 경우, 이제 시작인 탓에 적잖은 시설 보완과 레지던시 담당자의 역량을 위한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다. 나름 시설과 담당 조직에 공을 들였던 아트플러그의 경우, 이제 지난 지방 선거 이후 ‘소수의 고상한 예술가들을 위한 공간’에서 ‘지역 주민과 시민들을 위한 문화 공간’으로 바뀔꺼라는 분위기와 전조들로 뒤숭숭하다. 아트플랫폼은 10여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활성화가 안되었다며 존재 증명을 위해 이런저런 프로그램과 프로젝트들로 뒤죽박죽인 개항장 문화지구의 아울렛이 되어 가고 있다.
지역 공공 레지던시에게 던져지는 질문을 가장한 패턴들. 지역 작가 비중이 적거나 홀대한다는 건데, 그 ‘지역’ 작가가 혹시 ‘자기들이 아는’ 작가는 아닌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 대부분 전국 단위 공공 기금과 제도에서 서울, 인천, 경기는 수도권으로 묶어 분류한다. 지역에서 낳고 자라 정주하는 것이 마치 지역성을 위한 진정성의 필수로 삼으며 또 다른 충성 줄 세우기를 하는 건 아닌지 들여다 봐야 하지 않을까. 활성화가 안되었다며, 정작 현실성 없는 예술경영 사례를 설파하거나, 그런 기관들의 예산과 인력의 투입의 백분의 일도 안되는 상황을 간과한 아이템 나열에 불과하다. 1년 365일 공간과 장소를 전시, 행사, 프로젝트로 꽉꽉 채우고 시민들이 북적대는 문화공간을 원한다면 레지던시를 하지 말아야 하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지역 연구를 연계한 작업이나 전시가 일회성이거나 대상화한다고 하지만, 그렇게 지역을 오래 연구하고 작업하는 건 이미 지역 연구자들이나 작가들이 하고 있는 거 아닌가.
자꾸 레지던시를 고상한 예술놀이 하는 예술가들을 위해 우리 세금으로 지원한다는 논리도 지역 행정이나 우리 일상 경제 체계를 단순 지방세입으로만 판단하는 것이다. 다층적이고 개별적 시민이 아닌, 교육과 향유로 균질화된 시민으로 대상화하거나, 민간인으로서 일반 시민이라기 보단 범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이 시민들로 되는 경우도 많고, 지방세입과 투표권을 가진 시민을 위한 문화예술 향유의 주체를 단순화하는 태도다. 모두를 위한 공공 레지던시를 빙자해, 자기 취향과 자기 욕망들을 우겨넣는 게으른 비판에 대해 언제나 레지던시 담당자들이나 예술가들은 방어적으로 겸손하며 소통을 위해 얼마나 몸과 마음을 갈고 있는지 증명해야 하는 건지.
물리적 공간으로서 공공 레지던시가 아니라, 다중적인 주체와 다양한 시행착오로 쌓여 생길 새로운 장소성과 지역성을 제대로 한 번 들여다 볼 수고조차 하지 않고, 하다못해 새로 바꾼 스마트폰 사용법은 배우지만 예술은 그냥 느끼고 즐기면 되는 거라 그렇지 않으면 어렵고 고상한거라 이야기한다. 예술가가 어떻게 시민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가져야 하는지 공공 레지던시가 어떠해야 하는지 '천상천하 유아독존 하고 싶은대로 사는' 예술가들에게 가르침을 시전한다. 그런데 그렇게 동네북처럼 지역 행정가, 정치인, 지역 예술가, 지역 주민들이 두들겨대는 가운데 정작 모두를 위한 공공 레지던시를 위한 자기 반성과 성찰 그리고 모두를 위한 분석과 실천은 찾아 보기 어렵다. 그래서 그렇게 두들겨대는 북소리에 귀를 기울이기 어렵거니와 이제는 슬슬 ' 반사!! 어쩔티비' 하고 싶은 마음뿐이다. [ ]
유운 (인터-로컬 큐레이터)
예술나루 레지던시 @iscf.kr
설립 : 2022년
주소 : 인천 서구 정서진1로 41 경인아라뱃길 여객터미널 1층
운영 : 인천서구문화재단
연수아트플러그 @artplug_yeonsu
설립 : 2021년
주소 : 인천 연수구 청량로 101번길 33
운영 : (재)연수문화재단
창작문화공간 만석 www.wooriart.co.kr
설립 : 2016년
주소 : 인천 동구 화도진로 192번길 9-8
운영 : (재)인천문화재단 우리미술관
참고 : 창작문화공간 금창 2018-2019년 운영
인천아트플랫폼 @incheonartplatform
설립 : 2009년
주소 : 인천 중구 제물량로 218번길 3
운영 : (재)인천문화재단
* 이미지는 필자에게 제공받았으며, 사용 허가를 받고 게재합니다.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예술 아카이브 거버넌스를 꿈꾸며 (0) | 2022.09.25 |
---|---|
인천문화예술40년사, 관행적 기념 편찬과 실천적 지역 기록화 사이에서 (0) | 2022.07.31 |
불타는 지역 미술 시장의 불편함과 마주하기 (0) | 2022.05.29 |
공공미술, 마을의 상처 (0) | 2021.11.28 |
인천시립미술관과 이건희컬렉션 (0) | 2021.05.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