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무비평삼사27

방문객들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에 더하여 전시 기획자를 대상으로 하는 큐레이토리얼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 양적, 질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은 서울뿐 아니라 광주, 부산, 인천 등 국내의 다양한 지역에서 팬데믹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참여 기간과 결과물은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다.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구성을 가진다. 하나는 정해진 기간 동안 입주하여 해당 지역에 머무는 레지던시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약 5회에서 10회 정도 주기적인 모임을 가지는 워크숍 형태이다. 후자는 전자를 간소화한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참여 기획자 개개인의 전문적, 직업적 역량 강화를 1차 목표로 두지만, 특정 지역을 거점으로 삼는 큐레이토리얼 인큐.. 2022. 5. 29.
불타는 지역 미술 시장의 불편함과 마주하기 개항장 문화지구에 2022년 초 2개의 미술 전시장이 문을 열었다. 여전히 중구에 집중된 전시장이란 한계는 있지만, 그럼에도 전시장이 생겨난다는 건 작가들에게도 기획자들에게도 긍정적일 것이다. 궁금한 마음에 벚꽃이 한창일 무렵 동네 산책 겸 몇몇 전시장에서 전시를 보다, 처음엔 황당했고 화가 났다 씁쓸한 뒷맛을 느꼈고 다른 동네 몇몇 전시장을 다녀 온 후엔 아득한 절망감에 마음이 어지러웠다. 팬데믹 사이에도 미술계는 미술 시장이 스멀스멀 불붙기 시작하더니 작년부터 지역에서도 아트 페어에 관심도 높고, 여기저기 판매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전시가 생겨나고 있다. 공공 기금과 제도가 창작과 기획매개의 일부만 지원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고려한다고, 예술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 시장이나 유통이 다양해지고 활발해져.. 2022. 5. 29.
유희적 전술로서 응시 혹은 탈선하기 바닥을 침투하는 축축하고 끈적이는 타액의 흐름을 따라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는 신체 조직들 반사된 빛의 각도를 따라 접혔다 펼쳐지는 표면 너머로 조각되는 장면들 그 이면에 뚫린 검은 구멍과 그 속에 숨겨진 유물들 너머로 대기의 습윤한 질감을 따라 몸을 형성하는 환영들 가변적이며 유기체를 동반하고 공간에 달라붙어 하나의 완결된 형태로 조망할 수 없는 작품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전시를 감상하기 위해선 장소와 인프라, 작품과 신체의 접촉을 통한 뒤얽힘과 화학작용으로 융해해 들어가는 연금술적인 눈이 필요하다. 감상은 응접실을 향하는 길목에서부터 시작한다. 전시는 응접실이라는 공간 자체를 전유하며, 응접실은 인천이라는 지형학적 플랫폼을 경유하여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인천역에서 20여분 정도의 보도 이동 .. 2022. 5. 29.
유전자에 새겨진 뿌리의 냄새, <파친코>와 <미나리>가 지워진 이민의 역사를 되살리는 방식 바야흐로 장벽이 낮아지고 경계가 녹아내리고 있다. 정이삭 감독의 (2020)는 93회 미국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윤여정 배우)를 차지하며 화제를 모았다. , 등을 만든 플랜B가 제작한 는 1980년대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 아칸소주 농장으로 건너간 한인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한국계 미국 감독 정이삭(Lee Isaac Chun)의 자전적 사연을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낯선 땅에서 뿌리를 내린 이민자들의 삶이 투영된 수작이다. 북미에서는 36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과 관객상을 수상한 이후 꾸준히 좋은 반응을 얻어 결국엔 아카데미의 영광을 거머쥐었지만 북미에서는 80퍼센트 이상 한국어를 사용하는 가 외국영화인지 자국영화인지를 두고 작은 논쟁이 일었다. 제작, 배급 기준으로 한다면 는 미.. 2022. 5. 29.
분홍이 겹겹 팥죽 별 다른 가공 없이 자연 그대로의 붉은 빛을 띄는 팥죽색, 나는 이 색을 정정엽 레드라고 불러본다. 이 색이 참으로 묘한 것이 이 불그죽죽한 빨강은 옅어지면 옅어질수록 얼굴에 덫 입혀진 발그레한 볼마냥 분홍빛을 띤다. 그래서인지 정정엽의 그림 속 인물들은 강하고 순박하고 또 억척 스럽다. 아트센터 화이트블럭에서 열린 정정엽 작가의 20번째 개인전 [걷는 달]은 연약하거나 소외된 존재들에 관심을 두면서 여성의 힘을 상징하는 ‘여성’, ‘여성의 노동’에 대한 작업을 선보인다. ‘여성’의 이야기는 매우 보편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십상이다, 한편으로는 그렇기 때문에 여성 한명 한명의 삶의 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한다. 정정엽 작가는 각각의 묵직한 삶의 무게를 가진 ‘여성’들을 화면에 끌어들인다. 아니, 그들.. 2021. 11. 28.
인간과 길고양이의 관계를 ‘탁’ 비튼다는 것 “ 대체 몇 년이나 길고양이 밥을 줘 보고 이야기하는 거야” “ 내가 얼마나 많은 돈과 희생을 해왔는데... ” “ 이 아이들은 길고양이가 아니라 내 새끼라구 ” " 예술가라 역시 뜬구름잡는 이야기만 하시네요 " “ 그런 말들을 하는 건 우리 모임의 순수성을 해치고 분열을 조장하는 겁니다. ” 몇 해 전이었다. 한때 업종 변경을 생각할 만큼, 열심히 했던 동네 고양이 보호 활동에서 재건축 관련 문제로 첨예하고 복잡한 상황과 감정적이고 예민해진 관계들이 얽혔을 때 들었던 말들. (더 심한 말도 있었지만 정신 건강을 위해 생략한다.) 당시 문제의식을 조금 공유했지만, 각자 상처와 책임으로 애써 거리를 두고 있었던 그가 지나가는 말로 잡지를 내고 싶다 했고, 나는 말랑한 고양이 이야기나, 캣맘들의 희생이나 길.. 2021. 8. 29.
예술가의 자격 “관객들은 그 장면을 보고 싶어 한다니깐?” 대학 시절, 국어교육을 전공하던 나는 영화로 세상을 바꾸겠다는 원대한 꿈을 안고 영화과 복수 전공을 시작했다.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은 모두 세상을 향해 날카로운 칼을 들이대는 사람들일 거라던 나의 순진한 믿음은 영화제작 수업을 들으며 와장창 깨졌다. 수업은 시나리오부터 촬영, 편집 단계까지 각자의 결과물을 공유하고 교수와 학우들의 합평으로 진행되는 수업이었는데, 말이 좋아 합평이었지 사실 교수의 입맛대로 영화를 바꾸는 수업이었다. 한 친구는 자신이 어릴 적 성폭력을 당했던 일을 극복하고 싶다며 시나리오를 써왔는데, 교수는 성폭행 장면이 꼭 들어가야 한다며 친구를 닦달했다. 급기야 교수는 남학우들을 한 명 한 명 지목하며, 그 장면이 보고 싶지 않냐고 캐묻기까지.. 2020.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