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

할 수 있는 일을 한다는 것 참 어려운 시기였다. 무언가를 해보려고 바싹 힘을 낼라치면 코로나 19는 모두의 주어진 상황을 정지시켰다. 임시공간에도 그것이 비켜가지는 않았다. 2020년 인천리빙디자인페어(주최 디자인하우스, 인천관광공사/주관 월간 , 월간 )가 송도 컨벤시아에서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4일간 진행 예정이었다. 임시공간은 이 페어의 부스 참여에 초대받았다. 각 부스에서는 기성품의 리빙 용품들과 가구들이 판매될 예정이었고, 우리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여 리빙을 시각예술 안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부스를 꾸릴 예정이었다. 어느 기획이든 그렇겠지만 단 4일을 위해 부스 공간 구성 디자인도 의뢰하는 등 물심양면 몇 곱절 애를 쓰며 ‘아티스트 룸’을 준비했다. 그런데 이게 웬걸. 페어 시작 하루 전날, 그러니까 작품 설.. 2021. 2. 28.
오 마이 시티 다르다는 것이 더 이상 차별과 혐오가 아닌 차이로서 받아들여질 때 우리는 비로소 다양성에 관한 논의를 시작 한다. 생활 양식 속에서 당연히 라는 말의 필요성은 점점 줄어들고 각자의, 개인의 살아가는 방식은 점점 더 다양해졌다. 그리고 다양한 삶의 양식을 가진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은 점점 늘어났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며 교류하는 공간을 도시라고 부르기로 했다. 그리고 도시는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포함하며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들과 타인과의 교류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실존하게 된다. 는 이러한 도시 속에서 개인적인 경험들이 가득한 공간으로 도시를, 이미 익숙해진 관계를 다시 보는 것으로부터 시작 된다. 인천 영종도의 파라다이스 시티에서 진행된 는 다양한 국적.. 2021. 2. 28.
송도 유원지로부터의 특별한 초대 하루에도 몇 번씩 반갑지 않은 메시지가 일상을 덮친다. 한 번도 상상해 보지도 경험해 보지 못했던 이 비상시국은 당연했던 일들을 특별하게 만드는 재주가 있다. 달력에 체크해두고 기다리던 전시 일정들이 하나둘씩 취소되고 조기 폐쇄되는 등 모든 앞날이 불투명해지는 상황에서 송도유원지로부터의 뜻밖의 초대장을 받았다. 는 코로나19의 단계가 2.5단계로 격상되면서 폐쇄하고 온라인 전시로 대체된 상황이었다. 무슨 좋은 연이 닿았는지 관계자의 배려로 오랜만에 전시장을 두 발로 자유롭게 누비며 작품들과 직접 대면할 수 있었다. 전시는 아카이브, 전시, 교육 세 가지 섹션으로 구분된다. 전시의 핵심은 송도유원지와 관련한 생생한 시민들의 이야기와 개인 소장 사진 및 영상물, 그리고 수많은 역사적 사실 관련 아카이브 자료.. 2021. 2. 28.
귀여운 희망 한 스푼 주세요 2020년, 도저히 하나를 고를 수 없어 일 년을 적는다. 이상한 2020년이다. 뭘 해도 되는 1년인 동시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한 해였다. ‘양해 부탁드립니다.’로 끝나는 메일에 ‘괜찮습니다. 건강하세요!’의 답장을 보내며 노트북을 닫는 일이 잦았다. ‘어쩔 수 없다’는 말은 폭력적이고 무책임한 처사라고만 생각했는데, 정말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음을 전염병을 마주하고서야 알았다. ‘위드(With) 코로나’를 이야기하며 자조하지 않는 방법은 아직 찾지 못했지만, 2020이란 글자에 물든 절망을 덜기 위해 몇 번이고 퇴고를 거쳤다. 그리고 억지로라도 짜낸 희망을 몇 숟갈 부었다.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쉬이 놓아버리지 않기 위해, 지나온 현재를 여기에 남긴다. 2019년 12월, 대학 공부.. 2021. 2. 28.
인천시립미술관 소장과 지역 언론 연말 찻잔 속 태풍처럼 조용히 지나간 일이 있다. 인천 출신으로 국전 수상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고정수 작가의 작품들이 인천시립미술관 기증 추진을 했다가 실패하고 우회로 인천시에 기증된 사건에 관한 기사들을 발견했다. 흥미로운 건 시립미술관 소장 실패 후, 인천 일보의 여체 조각의 선구자 고정수 작가 작품인천 품에 안길까(2020년 12월 10일자)라는 기사가 났고, 인천시로 기증된 후 오 내 새끼들'…북극곰의 모성애를 보다 (2021년 2월 24일)와 동아일보의 문화자산 관리 갈피 못잡는 인천의 ‘초라한 자화상’(2020년 12월 30일자)가 났다는 것이다. 지역 공공 미술관이 모두 국제적이거나 현대미술의 장일 필요는 없을 수 있고 국전이라는 타이틀과 요즘 성감수성에 맞지 않는 동시대성도 넣어둘 수 있다.. 2021. 2. 28.
아는 지갑과 지역 미술 시장 작년 연말, 팬데믹으로 연기된 바젤아트페어를 인천에 유지하기 위한 대장정으로 인천 아시아 아트 쇼 기사를 확인하고 를 온라인으로 참관했다. 워낙 미술관련 인프라와 조건이 아쉬운 인천인지라 대형 아트 페어가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에 긍정적인 단계들을 차근차근 밟아 간다면 그 품은 뜻을 응원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인천 아시아 아트 쇼의 포부 계획 등을 듣다보니, 2019년 인천 해양 국제 미술 축전이 생각났다. 일주일 동안 매출 1조원, 참여 화랑이 300여개 내외에 9만여명 관람객의 바젤 아트 페어를 감당하기에 시립미술관뿐만 아니라, 작은 공사립 미술관, 갤러리, 대안 공간 그리고 지역 내 아트 페어 등의 현황과 미술 시장의 창작이나 향유에 대한 냉정한 판단은 없이 시민 참여 프로그램으로 사생대회를 언급했.. 2021. 2. 21.